- 바로가기 메뉴
- 본문 바로가기
수산물안전 품질/위생 안전성조사 개요

- 수산물의 품질향상과 섭취했을 때의 유ㆍ무해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산물에 잔류된 중금속ㆍ 패류독소ㆍ식중독균ㆍ항생물질 등의 유해물질을 농림수산식품부령 정하는 허용기준 및 식품위생법 등의 관계법령에 따라 잔류허용기준을 넘는지 여부를 조사.
- 수산물은 그 특성상 오염ㆍ부패가 쉬우므로 생산ㆍ출하 단계부터 안전성조사를 실시함으로써 불량수산물 유통근절로 안전한 수산물 생산체계를 구축하고 수산물의 사전안전성이 확인된 수산물만 유통되도록 함으로써 국민보건안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. 그러므로 관련 생산자, 저장자, 출하자는 좋은 품질의 수산물을 만들어 상품의 가치를 높이고, 소비자는 안전한 수산물을 섭취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.

- 농수산물품질관리법 제61조
- 수산물안전성조사업무처리요령(농림수산식품부고시 제2012-77호)

- 조사대상은 주로 국내산, 연근해산 수산물로 생산ㆍ저장ㆍ거래 전 단계의 수산물과 수산물의 생산을 위하여 사용 또는 이용하는 용수ㆍ어장ㆍ자재 등입니다.
- 검사항목으로는 중금속, 항생물질, 식중독균(장염비브리오균), 패류독, 복어독, 말라카이트그린 등

- 생산ㆍ저장ㆍ거래전단계 수산물은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각 지역본부 및 사무소
- 생산단계 해역 패류독소 조사는 국립수산과학원.

- 해물질이 허용기준을 넘는 때에는 생산ㆍ저장 또는 출하하는 자에게 서면으로 기준초과 사실을 통지, 생산단계인 경우는 용수ㆍ어장ㆍ자재 등의 개량명령과 이용ㆍ사용의 금지,수산물의 출하연기ㆍ용도전환, 폐기명령과 처리방법을 지정
- 생산자, 저장자, 출하자는 이에 따른 필요조치를 취해야 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