축산물안전
동물축산물검역검사
해외 동물질병 발생동향 해외 가축전염병 발생 동향 (24)
과학적인 수입위험분석을 통해 안전한 동.축산물을 수입합니다.
(중국) H7N9 사상자수 증가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필요 (Taipeitimes) | 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
담당부서 | 동물질병관리부 | 작성자 | 조기현 | 1262 | 2014-01-20 |
❍ 발행일 : 2014.1.20. ❍ 최근 H7N9 2차 유행으로 3명이 사망하여 보건당국자들은 해당 바이러스의 변이와 잠재적인 전세계 유행을 감시하고 있음 - 올해 초부터 중국에서의 H7N9의 현저한 유행(지난주 24건 확진, 3명 사망)으로 세계적인 유행을 막기 위한 신종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한 지속적인 예찰이 필요함 - 영국 런던왕립대 한 전문가에 따르면 이는 명확한 H7N9의 2차적 유행의 징조이며 겨울 독감시즌에서 이 바이러스 감염환자 수가 예상치 못할 정도로 증가하면 바이러스 변종 위험성 또한 높아져 사람간 전파가 가능할 수도 있음 * 작년 3월부터 현재까지 중국, 대만, 홍콩에서 H7N9 감염환자 최소 170명, 그 중 50명 사망 ❍ 현재까지 H7N9의 사람간 전파 가능성은 없으나 작년 8월 한 과학적 분석에 따르면 H7N9의 사람간 전파 가능성은 불가능하지 않음 - 작년 8월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H7N9은 산발적으로 사람사이에서도 전파될 수 있음 - 지난달 미국의 한 연구팀에 따르면 H7N9은 여러번의 변이를 통해 사람간의 전파도 가능함 ❍ 세계보건기구는 지난 수주 동안 H7N9 감염의 급격한 증가를 주목하여 감시 중이며 5개 가족집단에서 H7N9 발병이 보고되었으나 사람간의 전파를 지지하지는 못하며 지역사회 수준의 전파 가능성 또한 낮다고 함 -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종들은 1∼2월의 추운 겨울 기간 동안 발생이 강력하게 증가함을 보임 - 야생조류에서의 바이러스 순환이 많을수록 중국에서 감염된 사람의 수가 증가하였으며 새로운 종은 다른 바이러스 종과 혼합하여 변종을 일으켜 잠재적인 대유행을 유발할 수 있음. ※ 출처 : http://www.taipeitimes.com/News/editorials/archives/2014/01/20/2003581685 |
|||||
첨부파일 | 0개 (전체저장 버튼 클릭 시 압축파일로 저장됩니다.)
|
|||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