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출입 동·축산물·사료의 검역·검사 |
해외가축전염병 유입방지을 위한 국경검역 |
CIQ 및 화물터미널 국경검역 |
축산물 수출확대을 위한 검역지원 |
축산물수입판매업 영업신고 |
검역시행장 지정 및 관리 |
수입쇠고기 유통이력제 관리 |
수출입 축산물의 성분규격 및 미생물 검사 |
축산물영업소 위생감시 |
수입 축산물가공품의 성분규격 검사 |
축산물 위생 및 안전 관리 |
수입 식육의 미생물 모니터링 및 탐색조사 |
구제역 유입방지 등 국경검역 |
수입 축산물가공품의 성분규격 검사업무 |
수입 식육의 미생물 모니터링 및 탐색조사 |
국내산 축산물가공품의 수거검사(이화학 및 미생물) |
국내외 문제축산물의 정밀검사 업무 |
축산물의 성분규격·미생물의 검사기술 개량에 관한 시험·연구 |
축산물작업장 등의 위생관리, 수거 및 위해축산물 회수 |
수출입 축산물 유해잔류물질검사 |
축산물의 유해잔류물질의 검사기술 개량 시험연구 |
국내유통 축산물의 수거검사 |
수출입 동·축산물의 전염병검사업무 |
반려동물에 대한 광견병항체가검사 서비스 |
전염병검사 기술개량 시험연구 |
구제역, 소 해면상뇌증(BSE) 등 주요 가축질병에 대한 지방자치단체 합동 역학조사 실시 |
주요 가축질병에 대한 지방자치단체 합동 역학조사 실시 |
구제역, 신종질병 의심신고 시 현장 방역조치 및 지원 |
가축질병 방역대책 추진을 위한 지역 방역대책 시행 |
지역 가축질병 현황에 따른 국가적 가축질병 예찰사업 |
TSE 임상예찰 |
구제역 정밀검사 및 예찰 |
디지털가축방역체계 구축을 위한 축산관계자 및 차량 등 데이터베이스(DB) 구축 지원
|
구제역, 신종질병 의심신고 시 신속한 초동 대응 등 현장 방역조치 지도·지원 |
가축질병 방역대책 추진을 위한 지역방역대책 시행 |
지방자치단체 및 농가의 방역이행사항에 대한 교육, 점검 및 관리감독 |
구제역 등 국가재난형 질병발생 시 방역대응
|
축산물위생검역과 | 064-728-5350 |
---|